세미나, 발제와 토론 (TM)
세미나
온라인으로 하게 되는 세미나 신청은 6월 18일 월요일에 시작될 예정이며, 자세한 안내는 등록하신 이메일 주소로 연락드리겠습니다.
강사소개는 speakers page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
복음 (좋은 소식) – 제대로 아시나요? / 강동인 박사

‘복음’은 세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놀라운 능력의 소식입니다. ‘복음’은 세상이 근본적으로 변했다는 놀라운 증거입니다. ‘복음’은 이제 어떠한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아도 된다는 희망의 소식입니다. ‘복음’을 아는만큼 우리는 하나님을 닮을 수 있습니다. ‘복음’을 아는만큼 우리는 의미있고 멋진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이 세미나에서는 성경에서 말하는 이 세상의 원리와 하나님 나라의 원리, 그리고 복음을 통해 이루어진 새로운 세상과 새로운 삶에 대해서 다루려고 합니다. 기독교 신앙에 대해서 관심이 있으신 분, 이제 막 예수님을 믿으시려는 분, 신앙에 질문이 많으신 분, 교회와 세상이 너무 동떨어져 있다고 느끼시는 분들을 초청합니다.
천국 한 모퉁이, 세상 한 모퉁이로서의 하나님 나라 / 송병주 목사

은혜의 자리에 머물게 하는 기도 / 김영봉 목사

묵상: 하나님과 연애하며 동행하기 / 백은실 집사

개인 성경공부: 성경을 깊이 있게 읽고 싶다 (1,2강 연결 세미나) / 류인현 목사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 류인현 목사

신앙 생활의 걸림돌, 어떻게 넘어설까? (어려운 믿음의 난제들, 쉽고 바르게 이해하기!) / 배헌석 목사

이 강의를 통해서 1) 우리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신앙 및 성경의 의문점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2) 어떻게 받아 들이고, 이해해야 할까? 3) 성경을 통해 본 신앙의 본질은 어떤 것인가? 4) 성경을 걸림돌이 아닌 디딤돌로 읽는 실제적, 실천적 방법과 자세는 무엇인가? 등을 함께 나누며 함께 힘찬 믿음의 발걸음을 내딛고자 합니다.
질문을 가진 자, 오십시오! 신앙과 성경이 진리라면, 정답은 반드시 있습니다. 함께 답을 찾아 보도록 합시다!
기독교 세계관과 성경 읽기 (Reading the Bible in the light of Creation, Fall, and Redemption) / 전성민 교수

창세기와 허블 망원경 - 창조, 과학, 성경, 해석을 말한다 (Genesis and Hubble Telescope - A Talk on Creation, Science, Bible, and Interpretation) / 전성민 교수

세상
무신론자를 위한 기독교 변증: 미해결의 난제 (cold-case)에서 신뢰로 (forensic faith) (Conversational Apologetics: Cold case Christianity to Forensic faith) / 김정아 교수

‘전도’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무신론자 이웃들은 ‘전도’라는 말을 들으면 지하철역에서 주변 사람들을 향해 ‘불신지옥, 예수천당!’을 외치는 모습이 떠오른다고 합니다. 과연 이분들의 외침이 얼마나 설득력있게 다가올까요? 이러한 방법에 얼마나 그리스도의 품성이 묻어날까요? 오히려 그리스도의 복음이 왜곡되지는 않을까요?
C S Lewis는 기독교의 진리가 거짓이라면 복음은 아무 가치가 없으며, 만약 진실이라면 무한한 중요성을 갖는다고 했습니다. 무한한 중요성을 갖는 이러한 결정 앞에서 많은 무신론자 친구들에게 기독교는 결코 확인될 수 없는 미해결 난제 (cold case)로 다가옵니다. 또한 논리적인 증거를 찾는 사람들은 결코 그리스도인이 될 수 없다고도 합니다. 이 세미나에서는 변증 (apologetics)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무신론자인 우리의 이웃들이 그리스도의 초대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현명한 판단과 신뢰가 동반된 신앙(Forensic Faith)을 가질수 있도록 복음을 나누는 방법에 대해 같이 고민하려 합니다.
Nietzsche, the most prominent atheists of all time, declared “God is dead. God remains dead.” We are tempted to think that we don’t need to be able to answer these assertions because arguments do not really bring people into faith. However, the Holy Spirit uses our apologetic efforts to save people. Learning and using apologetics is commanded by God (1 Peter 3:15).
Evangelism has a real bad rap in society today. And for Christians who do try to witness to atheist neighbors, they tell me that our old styles of witness are ineffective. Why is that? While the Gospel is eternal and transcends time and culture, we must be able to navigate the dynamics of cultural change around us because it often distorts the true meaning of the Gospel.
“Christianity, if false, is of no importance, and if true, of infinite importance. If Christianity is true, eternity is at stake. Most atheist think Christianity is a cold case that there is no enough evidence to ground rational belief in Christ. In this seminar we will discuss various ways in which we can use apologetics as a tool to remove roadblocks caused by false ideas and help our atheist neighbors to see the powerful “forensic” evidence that authenticates the claim of the Gospel of the Christ.
God’s Will and Our Career Path / 김현일 대표

Many of us ask the question, “what does God want me to do with my life?” but should that be the question we should be asking as the starting point? We will look at our questions and assumptions around college majors or career paths, look at biblical principles around these areas, and look at practical ways to apply them in our lives. Whether you are about to start your college path or in the middle of your career path, the guiding principles will help you gain more clarity, freedom, and joy in expanding God’s Kingdom on earth as it is in heaven as we rediscover our calling to work as act of worship.
일터에서의 내 일이 하나님 나라와 연관이 있다고?? / 김영수 교수

God’s Mission, 본질과 현실 사이 – 하나님의 선교의 본질과 타문화 선교의 현실 / 민동식 선교사

북녘 행동발달장애 어린이를 돕는 화목의 직분 / 윤상혁 교수

사업이 사역 (BAM: Business as Mission) / 채종욱 선교사

그리스도인의 정치관과 정치참여, 무엇이 문제인가? / 이인엽 교수

공동체
중독, 그 수렁의 늪! / 정해균 목사

리더인 나도 별로 가고 싶지 않은 “평범한" 소그룹! / 박토니 목사

수많은 평범한 소그룹을 경험하고 인도해 왔지만 아직 GREAT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고 고민하는 강사는 대학 캠퍼스에서, 직장에서, 또는 교회 공동체에서 소그룹 사역을 하며 GOOD에 만족하길 거부하는 이들에게 그 고민을 나누길 원한다.
옆집 부부는 무엇을 고민할까? / 유영택 목사 & 유혜연 사모

패밀리가 산다! (A thriving family) / 심연희 사모

Family was not our choice. They were given to us. They were blessings and curses at the same time. Family might have been the source of our scars or the secure boundary that healed us from the battle in the world. Our family might be easy to read because they are the closest to us, but they are also truly difficult to deal with. This class is designe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dynamics of our family, who lead us to who we are now. The class is also to help us restore and prepare for the family we will be having in Christ.
나를 살리는 연애, 나를 망치는 연애 (Constructive dating vs. destructive dating) / 장지훈 교수

Despite the numerous books and seminars on dating and marriage, for most young Christian adults, dating is a topic still hard to grasp and full of inconsequential advices and biased (& random) tips. Moreover, the discrepancy between the ideal dating suggested by Church and the real dating most young adults outside the Church are doing gets bigger and bigger, which poses a challenge to young Christians. As a Christian, how should we date and prepare for marriage? Dating cannot be properly understood without considering a desirable marriage life but also actually has much to do with how we can grow as a Christian. Thus, in this seminar, drawing on some basic principles regarding dating and marriage from the Bible, I would like to discuss how our dating can be constructive (vs. destructive) and how we can learn to enjoy the pleasure God designed for us from the beginning.
"Pathmaker” 세대 여성의 경험과 은혜 / 양혜원 박사

돌싱, 복음 안에 살아가기 (내용 비공개) / 변명혜 교수

(다른 세미나와는 달리 내용을 녹음하지 않습니다.)
은혜
바울과 은혜: 하나님의 선물 / 김도현 목사

시를 잊은 성도에게 – 시를 통해 만나는 은혜 / 손태환 목사

What has grace got to do with feminism? / 양혜원 박사

#나랑같이울어줄사람?: 개인의 트라우마를 넘어 이웃을 용서하는 은혜의 공동체 / 허현 목사

#어떻게덜아프게때릴까?: 갈등을 넘어 정의의 길을 따라 세상을 회복시키는 은혜의 공동체 / 허현 목사

나무 십자가 만들기 (Making wooden cross) (1,2강 연결 세미나) / 김성환 목사

“And out of the ground the Lord God made to spring up every tree that is pleasant to the sight and good for food. The tree of life was in the midst of the garden, and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Genesis 2:9 describes the Garden of Eden filled with abundant life and joy. Trees, I believe, are one of the greatest gifts of God given to us. The Gospel, in short, is a story about road reconstruction to the Tree of Life in the garden, The road has been closed to us but now restored because of the life and death of the carpenter.
This year’s theme of KOSTA is ‘GRACE.’ In this seminar each person will make wooden cross contemplating on the meaning of grace revealed in the cross. The seminar is limited to 12 people per session.